생활정보

집금거래 뜻과 목적 주의할 점 알아보기

광고토대왕 2024. 7. 25. 16:34
반응형

 

 

 

 

 

집금거래란


 

 

 

국어사전을 보면 집금(集金)이란 돈을 거두어 모음. 꼬는 그 돈이라고 합니다. 집금거래는 금융기관이 고객의 요청에 따라 여러 계좌에서 자금을 모아 하나의 계좌로 집금하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기업이나 단체가 여러 계좌에 분산된 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 증권사 : 비대면으로 금융계좌를 개설하여 목적에 맞지 않게 사용하고 불법적인 목적으로 돈 자체를 거래하는 행동
  • 은행 : 오픈 뱅킹을 활용하여 은행의 계좌로 타행 계좌에 든 예금을 한 번에 가져오는 기능

 

증권사에서 비대면 계좌 만들 때 집금거래 목적으로 만들면 개설이 반려될 수도 있습니다.

 

 

 

 

 

 

 

 

 

 

 

2021년 코인거래소 위장계좌 전수조사가 이뤄지며 집금계좌 모니터링이 강화되고 은행실명계좌 이슈가 떠오른 적이 있습니다. 당시 은행 실명계좌를 얻지 못한 거래소가 거래소 법인계좌에서 개인 식별번호를 첨부해 입금처리를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같은 집금계좌를 쓰면 자금 추적이 불가능하여 자금세탁방지의 도구로 쓰일 수도 있고 거래소가 먹튀를 할 경우 개인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따라서 이슈가 되었죠.

 

 

 

 

 

 

 

 

 

 

 

 

 

 

집금거래 목적


 

 

 

1. 자금관리 효율화

2. 비용절감

3. 재정계획 수립

4. 유동성 관리

 

 

예를 들어, 본사에서 각 지점의 매출액을 매일 집금하여 본사 계좌로 모아 자금관리를 하는 경우 또는 프랜차이즈 본부가 각 가맹점의 수수료를 정기적으로 집금하여 본부 계좌로 모으는 경우 모두 앞서 말한 집금거래 목적에 부합합니다.

 

 

반면 집금거래를 악용하는 사례가 있어서 증권사에서는 계좌개설 시 집금거래 유무를 확인합니다.

 

 

 

 

 

 

 

 

 

 

 

집금거래 악용


 

 

 

1. 자금세탁 및 불법자금 조달

2. 업무상 배임 및 횡령

3. 세금회피

4. 금융사기

5. 계좌 동결 및 신용도 하락

 

 

집금거래는 여러 계좌에서 돈이 들어와 누구의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자금세탁 및 불법자금 그리고 세금회피 용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물론 투자 사기 피라미드 사기와 같은 금융 사기에도 사용될 수 있고요. 불법적인 활동이 의심될 경우 금융기관에서 계좌를 동결할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집금거래는 본래의 목적에 맞게 사용되어야 합니다.

 

 

 

 

 

 

 


 

 

 

 

 

 

 

 

재테크놀로지 - YouTube

 

재테크놀로지

안녕하세요~ 재테크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재테크놀로지 입니다. 돈이 되는 재테크 방법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Value-Up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래된 건물이나 빌딩의 리모

www.youtube.com

 

반응형
댓글수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