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대한민국 합계 출산율 계산법 한국의 심각성

2023년 대한민국 합계 출산율
계산법 한국의 심각성
얼마 전 2023년 출산율이 잠정 발표되었고,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며, 전 세계에서 낮은 출산율을 기록하는 국가 중 하나입니다.
특히 OCED 국가 중에는 꼴찌이죠...
이번에 발표된 내용과 한국 출산율 추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율 계산법
합계 출산율은 특정 기간 동안 출산 가능 여성(보통 15세 ~ 49세)이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합니다.
크게 2가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1. 조사 연도 여성(15~49)들의 실제 출산율을 연령대별 조사하여 합치는 방식
→ 합계출산율(TFR) = ∑(ASFR)/1000
2. 5세 단위 계급으로 계산된 연령별 출산율에 5를 곱하는 방식
→ 합계출산율 = 연령별(5세 계급)출산율의 합 ÷ 1,000 X 5
우리나라의 계산법은 1번, 각세별로 작성되어 계산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한 국가에서의 인구 규모를 유지할 수 있는 합계출산율은 약 2.1명으로 보고 있습니다.
보통 선진국, 동유럽 국가들의 수치는 낮고 개발도상국들의 경우 수치는 높게 나타납니다.
아래 전 세계 출산율을 보면 아프리카는 합계출산율이 높아 인구 증가가 빠르게 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 거의 우리나라만 진한 남색이라는 것이 슬픈 현실입니다.

한국 출산율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사회 변화에 따라 급격한 인구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은 1960년대 산업화 시기 5~6명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빠른 인구 증가 때문에 산아제한 등 인구 억제 정책을 펼쳤던 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1980년대 2.9명 / 1990년대 1.6명 / 2000년대 1.5명 / 2010년대 1.2명 / 2022년 0.7대로 추락을 하며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중입니다.

2023 출산율
분기 합계출산율이 사상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졌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인구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해 4분기 합계출산율은 0.6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분기 수치가 0.6명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2023년 1분기 0.82명, 2분기와 3분기 0.71명, 그리고 4분기 0.65명으로 추락을 하였습니다.
2023년 출산율은 0.72명으로 2022년도 보다 0.06명 감소하였고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전년대비 -7.7%(1만9천2백명) 감소한 수치입니다.

2023년 대한민국 출산율
2022년 처음으로 0.8명대가 무너졌고 2023년 0.72, 2024년은 0.6명대를 코앞에 두고 있습니다.
저출산은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인해 경제성장률 하락에 치명적인 원인이 됩니다.
입학생이 급감하여 학교는 문을 닫고 군인 병력 또한 급금하며 국방력은 고갈이 됩니다.
또한 고령인구는 증가하기 때문에 국민연금 등의 공적연금 재정이 악화되면서 세금, 복지적으로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게 됩니다.
시도별로는 서울 0.55명으로 가장 낮았고, 전남과 세종이 0.97명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문제는 전국 시도 가운데 1명을 넘은 곳은 하나도 없었고 12개월 모두 출생아 수는 전년 동월 대비 줄었습니다.
2021년 기준 OECD 국가 평균 합계출산율은 1.58명으로 나타났는데, 한국은 0.81명으로 최하위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더 하락한 상태이죠...

저출산 관련 대책이 나오고 있긴 한데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효과가 많이 나오길 진심으로 기대해 보겠습니다.
이상, 2023년 대한민국 합계 출산율 계산법 한국의 심각성의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재테크놀로지
안녕하세요~ 재테크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재테크놀로지 입니다. 돈이 되는 재테크 방법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Value-Up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래된 건물이나 빌딩의 리모
www.youtub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