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3대 식량 중 하나인 옥수수가 친환경 기술을 이용하여 항공연료와 플라스틱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에 집중하는 DL이앤씨 실적 옥수수를 활용한 친환경 기술을 선보이는 사업의 다각화를 추진해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속가능한 환경경영에 집중하는 DL이앤씨
1. 미래의 식량자원 옥수수
2014년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r)는 지구 환경의 황폐화로 생존에 위협을 느낀 인류가 새로운 행성을 찾는 노력을 그린 작품이 있는데요. 주인공 '쿠퍼'는 옥수수 농장을 지으면서, 인류가 직면한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옥수수는 다른 작물에 비해 많은 양의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주에서의 농업에도 적합한 작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실제로도 옥수수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 중 하나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식용뿐만 아니라 사료용, 산업용 등으로도 널리 사용되며, 바이오 연료나 친환경 소재 등의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영화의 초반부에서는 주인공 '쿠퍼'가 옥수수 농장을 짓는 장면이 등장하며, 이는 당시 인류가 직면한 식량 문제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래의 농업은 더욱 혁신적인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래의 농업에 대한 연구와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된다는 의미입니다.

2. 기후와 토양 적응력이 좋은 옥수수
쌀과 밀보다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훨씬 높으며 기후에 대한 적응력이 좋아서 척박한 곳에서도 잘 자랍니다. 기후 적응력은 물론 토양을 가리지 않아 어디서나 쉽게 재배가 가능하며 재배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습니다.
옥수수는 전세계에서 많이 재배하는 곡물로 미래의 식량난과 환경자원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삭과 줄기, 잎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사람, 가축과 함께 앞으로는 연료 등 에너지 공급원이 되고 있습니다.

옥수수가 친환경 연료로 주목
옥수수가 21세기에는 친환경 연료, 플라스틱 원료 주목받고 있는데요.
DL이앤씨는 옥수수를 활용한 지속가능 항공연료(SAF), 폴리젖산(PLA) 개발 기술에 참여하고 있다고 합니다.
1. SAF (지속가능한 항공유) 란?
Sustainable Aviation Fuel는 석유, 석탄 등 기존 화석자원이 아닌 사용을 다한 폐식용유 등 대체원료로 생산된 항공유입니다.
화석연료가 아닌 폐식용유나 나무 같은 목질계 식물, 사탕수수, 옥수수처럼 당이나 전분 등의 친환경 원료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해 만드는 항공유입니다.

SAF는 바이오 항공유 또는 탄소중립 항공유라고 불리기도 하며 환경 친화적인 특징 외에도 경제적 사회적으로 효율성을 제공하며 원유 가격 변동 및 화석연료 수급 문제 등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화석연료 같은 경우 시추 가능한 곳에서 제한적으로 생산되는 반면, SAF는 다양한 원료를 통해 생산되기 때문에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이미 자동차 업계에서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모델로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것처럼 이산화탄소 발생이 높은 항공업계에서도 비슷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입니다.
항공기는 승객 한명이 이동할 때 탄소발자국 255g으로 버스는 105g에 비해 2배 이상입니다.
항공업계에서는 탄소를 줄이는 직면한 문제를 해결방안으로 바이오 항공유가 주목받게 되는 것입니다.

2. 옥수수 기름으로 비행기를 날개 한다고 ?
SAF 항공유는 옥수수, 사탕수수 같은 작물이나 폐목재로부터 에탄올을 생산해 친환경 바이오원로로 활용하여 생산되는 것입니다.
바이오항공유는 기존 항공유에 비해 탄소배출량을 80%까지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기존의 제트연료와 50%까지 혼합이 가능하며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현존하는 모든 항공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바이오 항공유 생산은 기존보다 다섯 배 이상의 가격으로 현재로서는 공급받기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옥수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로 SAF가 친환경 기술인가? 라는 시선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비용절감과 함께 공급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첨단 기술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3. DL이앤씨 항공유 생산사업 확대
이미 선진국에서는 SAF에 속도를 내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DL이앤씨에서 항공유 생산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미국 석유화학 및 에너지 기술 전문기업 KBR (Kellogg Brown & Root)과 지속가능 항공유 관련 기술협약을 체결했습니다.
DL이앤씨는 SAF 생산방식인 식물추출 에탄올(ATJ)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KBR과의 업무협약을 맺으며 발빠르게 진입한 것입니다.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ATJ는 높은 생산비용 극복을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생산성을 낮추는 기술이 개발된다면 다양한 원료 수급이 HEFA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DL이앤씨는 글로벌 기업과의 협약으로 SAF 사업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선점할 것으로 보입니다.

옥수수로 만든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1. PLA (폴리젖산) 이란 ?
플라스틱은 우리 생활에 빼놓을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된 석유계 플라스틱 소재는 바로 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로 플라스틱 소재 중 값이 싸고 잘 찢어지지 않는 특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석유계 플라스틱의 주요소재인 PP와 PE는 분해하는데 약 100년에서 500년 정도 걸리고, 태울 경우 환경호르몬과 대기오염의 문제가 있습니다.

2. 화학 플라스틱 단점을 보안한 PLA
PLA는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옥수수에서 추출한 포도당을 발효해 만든 젖산을 원료로 삼습니다.
자연물로 생산된 물질로 미생물에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조과정도 식물을 원료로 하기 때문에 탄소발생률이 석유 플라스틱 대비 1/4 적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PLA는 인간에게 무해한 차기 친환경 소재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3. PLA 플라스틱 활용 분야
우리가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빨대, 식품용기, 생수병, 티백, 의료용 녹는 실, 3D 프린터 등의 소재로 쓰입니다.
미국 바이오 플라스틱 PLA 공장 DL이앤씨 기본설계 진행
PLA 플라스틱 생산을 위해 LG화학은 미국 일리노이주 디케이터에 연간 7만 5000톤 규모의 바이오플라스틱 생산공장을 짓는 디미터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었는데요.
일리노이 공장에서 나오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500ML 생수병을 만든다면 연간 25억개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2025년 완공이 목표인 이 공장의 기본설계(FEED)를 DL이앤씨가 맡아서 진행중에 있습니다.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한 혁신적인 환경경영 실천에 주목할 수 있습니다.
PLA플라스틱 사용의 확대와 보편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이러한 플랜트 시공은 친환경사업의 DL이앤씨의 친환경 실적으로 큰 기대가 됩니다.
재테크놀로지
안녕하세요~ 재테크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재테크놀로지 입니다. 돈이 되는 재테크 방법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Value-Up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래된 건물이나 빌딩의 리모
www.youtube.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 신분증 의무화 도입, 편리한 모바일 건강보험증 활용하세요! (3) | 2024.06.29 |
---|---|
대체거래소 내년 3월 도입, 과연 어떻게 달라지나? (ft. 12시간) (9) | 2024.06.28 |
신협, 새마을금고 정기예금금리 특판은 있을까? (4) | 2024.06.26 |
KB카드 트래블러스 체크카드 추천 이유 알아보기 (2) | 2024.06.25 |
주택연금 조건 수령액 계산기 장단점 알아보기 (5)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