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5.20(월)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이제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는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을 때 신분증 등을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전액 본인 돈으로 진료비를 납부해야 됩니다. 또한, 본인확인을 하지 않은 병/의원은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정부가 이렇게 절차를 강화한 이유는 건강보험 무자격자가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하는 사례가 지속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본인확인 절차를 강화해 연평균 최소 4만건 이상의 도용사례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다 좋은데 문제는 매번 신부증을 잘 챙겨서 병원을 갈 수 있느냐입니다. 반면 스마트폰은 항상 들고 다니죠. 이 스마트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미리 깔아 놓으면 깜빡 잊고 신분증을 안 가져 갔을 때 당황하지 않고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그럼, 본인확인이 가능한 수단 및 본인확인 예외 사유를 간략히 살펴보고, 모바일 건겅보험증 발급 방법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본인확인 가능 수단
본인확인이 가능한 수단은 신분증, 전자서명인증서, 본인확인서비스, 전자신분증 이렇게 4가지 유형으로 가능합니다.
먼저, 신분증은 건강보험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국가보훈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국내거소신고증, 공공기관이 발행한 증명서/서류 등입니다.
그리고, 전자서명인증서는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디지털 원패스, 간편인증 등입니다. 전자서명인증서는 아마도 대부분 PASS, 네이버, 카카오 인증서를 이용할 듯 합니다.
또한,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PASS 신분증 확인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손쉬운 방법은 모바일 건강보험증입니다. 앱 다운로드 후 개인인증만 거치면 됩니다.
참고로, 모바일 운전면허증은 따로 돈을 내야하고, PASS 신분증 확인서비스는 신분증을 사진으로 찍어서 등록을 해야 합니다.
아울러, 신분증 사진/캡쳐는 신분증으로 인정되지 않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인확인 예외 사유
본인확인을 기존처럼 받지 않는 사유는 총 6가지 입니다.
먼저, 신분증이 없는 19세 미만은 기존처럼 주민등록번호만 말하면 됩니다. 또한, 동일한 병/의원에서 본인 확인을 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재진 시에는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약을 지급하는 약국도 제외됩니다. 이미 병/의원에서 본인확인을 받았으므로 제외시켜주는거죠.
그리고, 진료 의뢰 및 회송 받는 경우, 응급환자 및 중증장애인/ 장기요양자/ 임산부 등 거동이 불편한 분들도 제외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마지막으로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하는 방법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앱스토어/구글플레이에서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검색해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그리고, 약관동의 및 본인확인, 비밀번호 입력 등을 하면 가입이 완료되는데요.

그리고, 앱 하단에 있는 <QR제출> 버튼을 클릭하면 QR코드가 뜨는데요. 이를 병/의원에 보여주시면 본인확인이 간단히 끝이 납니다.
아마도 신분증을 가져간 경우에는 신분증을 보여줄 것이고, 깜빡잊고 간 경우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병원 신분증 의무화 도입 관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재테크놀로지
안녕하세요~ 재테크의 모든 것을 알려드리는 재테크놀로지 입니다. 돈이 되는 재테크 방법에 관한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고, Value-Up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오래된 건물이나 빌딩의 리모
www.youtube.com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딤씨앗통장 신청했다면 꿈나래통장 가능할까? (16) | 2024.07.02 |
---|---|
2024 전동지게차 정부지원 보조금 1500만원 및 융자 신청 조건 방법 (5) | 2024.07.01 |
대체거래소 내년 3월 도입, 과연 어떻게 달라지나? (ft. 12시간) (9) | 2024.06.28 |
친환경기술 플랜트 사업 DL이앤씨 실적 (25) | 2024.06.27 |
신협, 새마을금고 정기예금금리 특판은 있을까? (4) | 2024.06.26 |